Good-Bad
3 모압 사람들은 이스라엘 백성의 수가 대단히 많아서 몹시 무서워하였다. 모압 사람들은 이스라엘 자손이 나타난 것 때문에 두려워하였다.
6 이제 오셔서, 나를 보아서 이 백성을 저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들은 너무 강해서, 나로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습니다. 그렇게만 해주신다면, 나는 그들을 쳐부수어서 이 땅에서 쫓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
두려운 상황. 이스라엘은 모압을 공격할 의도가 없었으나, 자신의 상상으로 두려움을 키움.
멀리에 있는 발람 선지자를 통해서 이 상황을 막아보고자 함
Good News
12 하나님이 발람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그 사신들과 함께 가지 말아라. 이집트에서 나온 그 백성은 복을 받은 백성이니 저주하지도 말아라."
13 다음날 아침에 발람이 일어나, 발락이 보낸 고관들에게 말하였다. "당신들의 나라로 돌아가시기 바랍니다. 주님께서는 내가 당신들과 함께 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저주하지 말라는 분명한 메세지를 보내 주심.
Good
15 발락은 사람들을 더 보냈다. 수도 늘리고 처음 갔던 이들보다 직위도 높은 사람들이었다.
없음. 다시 Bad의 반응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에 굽히지 않고 더 열심을 다해 노력함
시혼에게 땅을 빼앗긴 적이 있었던 모압.
모압왕 발락은 시혼을 물리친 이스라엘이 두렵다. 이스라엘과 상관 없이, 자신의 상상 속에 두려운 상황을 만든다.
그리고 그 해결책으로 하나님의 선지자인 발람을 불러서, 그를 통해 이스라엘을 저주함으로써
상황을 안전하게 가져가고자 한다.
600km 넘게 사는 발람을 데려오기 위해 많은 사신과 복채를 보낸다.
하지만, 발람을 통해 전해져 오는 것은 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가지 말라하셨다는 것. 이스라엘은 복을 받은 백성이라는 것.
이 No의 대답은 사실 하나님의 도우심, 복음이었다.
하지만, 하나님의 대답에 발락은 다시 더 많은 사람들을 보내어 다시 발람을 청하고자 한다.
이번에는 하나님께서 발람에게 가라고 하신다.
열심히 노력하여, 뜻이 성취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은 아니었다.
우리는 하나님의 No를 복음으로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
어떻게든 더 노력하여 나의 뜻을 이루려고 한다.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
어떤 경우에도 하나님의 뜻이 내게 더 좋다.
[이스라엘은 스스로를 메뚜기라 여겼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을 메뚜기가 아닌 소떼처럼 크게 보이게 하셨다.
하나님께서 그렇게 만드신다]
[발람은 하나님의 백성을 저주하러 청함을 받게 되는 상황이었다. 여기서 하나님은 분명히 가지 말라고 말씀해 주신다]
기도
하나님,
나의 상상으로 두려움을 크게 만들지 않게 하소서. 두려움과 불안으로 행하지 않게 하여 주시옵소서.
나의 상상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하여 주시옵소서.
주님이 멈추게 하실 때,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자가 되게 하소서.
주의 뜻을 어기고 나의 뜻을 이루려고 더 큰 노력을 하는 자가 아니라,
주님의 뜻 앞에 순종함으로 주님의 복을 누리는 자가 되게 하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하나님 알아가기 > 말씀묵상 - Knowing God, Resembling Jes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ily Bread] 민수기 22:36-23:12 (0) | 2023.05.05 |
---|---|
[Daily Bread] 민수기 22:21-35_가라하신 길이 막힐 때 (0) | 2023.05.04 |
[Daily Bread] 민수기 21:21-35_순종 (0) | 2023.05.02 |
[Daily Bread] 민수기 20:1-13 (0) | 2023.04.29 |
[Daily Bread] 민수기 19:11-22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