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광고전략 - 수사학과 예증법
누군가를 설득하는 것은 참 어려워 하고, 반면 쉽게 잘 설득 당하곤 하는 나를 향한 처방전 하나
건진 생각
- 잘 설득하고 잘 설득 안 당하는 비결
- 논증의 형태로 생각 표현하기 : 추론의 형식을 갖춘 논증은, 사실 여부와 무관하게 논리적 설득력을 갖는다. 이 주장의 전제가 틀렸음을 밝혀 내지 못한면 내 주장에 동의하는 수 밖에 없게 된다.
- 상대방의 주장을 논증인지 단순 주장인지 재빨리 구분하여 반박하기
- 억지조차 거부할 수 없게 만드는 힘 = 예증법
- 예증법 연마 방법 1. 토피카 만들기 - 예증법의 설득력의 크기는 사용하는 "예"의 적절성에 달려 있다. '토피카'가 풍부할 수록 자신의 주장을 "쉽게" 펼칠 수 있다.
- 예증법 연마 방법 2. 좋은 예를 찾고, 그에 맞는 주제를 추론해 보기.
주운 지식
- 수사학
- 문예적 수사: 초기 수사학은 문학적 표현으로 상대를 감동시킴으로 설득하고자 한 문예적 수사 <미사여구법 elocutio>였음 - 소크라테스가 <고르기아스>에서 화장술, 아첨하는 기술에 불과하다 폄하
- 논증적 수사 : 시간이 지나며 수사학은 설득을 목적으로 '확증시키기' 위한 논증적 수사를 발전시킴 - <파이드로스>에서 '영혼에 영향을 끼치는 기술' 이라 함
- 논증 : 전제(premise)를 근거로 하여 결론(conclusion)을 이끌어내는 추론의 언어적 표현(argument)
- 논증은 표현 방식에 따라 자연언어 논증과 형식언어 논증으로 구분
- 전제 지시어 : 왜냐하면, 그 이유는
- 결론 지시어 : 그러므로, 따라서, 결과적으로 등
- 실천적 논증 : 형식적으로는 논증의 형태를 갖추지 않았으나(결론지시어나 전제지시어 생략) 내용상 논증인 주장
- 예증법(Paradeigma; 본보기) - 잘 알려진 예를 근거로 삼아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는 논증.
- "부분과 부분이 유사성을 가지고, 그 중 하나가 잘 알려진 것일 때, 잘 알려진 부분에서 다른 한 부분으로 진행하는 추론" -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 윌리엄 페일리 '지적 설계론', 에픽테토스(스토아학파) '무화과와 호두를 쥔 손 -욕망', 마태복음 7:9~11 '빵 대신 돌, 생선 대신 뱀'
- 토피카(Topica)
- 변증법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구서
- 참된 결론을 이끌어 내는 추론 = 논증법 vs. 개연적 결론을 이끌어 내는 추론 = 변증법 (넓은 의미에서 귀납법)
- 상투적 귀납법을 사례별로 모아 정리해 놓음.
- 변론이나 연설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투어들을 주제별로 모아놓은 자료집 ex. 고사성어, 격언, 역사적사실, 검증된 학설 등 "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다" "빛이 있는 곳에 어둠도 있다"
- 산파술(maieutke)
- 상식에 속하는 의견을 잡고, 그 의견이 거짓이 될 수 있는 예를 찾아내 상식을 수정해 가는 방법
Action Item
1) 토피카 만들기 (in Tistory?)
2) 예증법 만들어보기.
봄날씨는 변덕이 심하다. 뜨겁지도 차지도 않고 미지근한 인생은 상황에 따라 종종 변하여 감기에 사람을 당황하게 한다.
봄에 맺는 열매는 달지 않다. 주변을 자라게는 하지만, 맛있는 열매 맺게 하기에는 부족한 봄처럼, 미지근한 인생도 그렇다.
'나를 알아가기 > 書 : 삶은 내가 쓰는 문장을 닮아간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득의 논리학 5. 셜록홈스의 추리 기법 _ 가추법과 가설 연역법 (0) | 2020.05.15 |
---|---|
설득의 논리학 4. 귀납법 - 베이컨을 좋아하세요? (0) | 2020.04.30 |
설득의 논리학(3) _ 배열법. 아리스토텔레스가 논설문을 쓴다면. (0) | 2020.04.28 |
설득의 논리학 2. 삼단 논법의 세가지 변형 (0) | 2020.04.08 |
About Love _ <철학카페에서 시 읽기>를 읽으며. (0) | 2020.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