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1/01/02/T23JEXKXPZASDAHJ5JM63OMKRU/
2021.01.02 03:00
“우리는 피 흘린 혁명도 경험해봤고, 땀 흘려 경제도 부흥해봤어요. 딱 하나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것이 눈물, 즉 박애(fraternity)예요.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모르는 타인을 위해서 흘리는 눈물, 인간의 따스한 체온이 담긴 눈물. 인류는 이미 피의 논리, 땀의 논리를 가지고는 생존해갈 수 없는 시대를 맞이했어요. 대한민국만 해도 적폐 청산으로, 전염병으로, 남북 문제로 나라가 엉망이 됐지만 독재를 이기는 건 주먹이 아니라 보자기였듯이 우리에겐 어느 때보다 뜨거운 눈물 한 방울이 절실합니다.”
“나는 눈물 없는 자유와 평등이 인류의 문명을 초토화시켰다고 봐요.
자유도 중요하고, 평등도 중요하다.
혁명도 때로 필요하고, 부흥을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하지만, 여기에 '사랑'이 빠지면, 타인을 위한 관심과 공감이 빠지면, 우리가 바라는 그 이상향에 다다를 수 없다.
아니 어쩌면, 그 이상향과는 정 반대의 자리에 서 있을지도 모르겠다.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이 풍요하지만, 이전 보다 덜 행복한 것처럼.
암 투병 중인 이어령 “죽음이 목전에 와도 글 쓰겠다”
암 투병 중인 노(老)학자가 마루에 쪼그려 앉아 발톱을 깎다가 눈물 한 방울을 툭, 떨어뜨렸다. 멍들고 이지러져 사라지다시피 한 새끼발톱, 그 가여운 발가락을 보고 있자니 회한이 밀려왔다.
www.chosun.com
2019.10.19 07:00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18/2019101803023.html
"알고 보면 가까운 사람도 사실 남에겐 관심이 없어요. 허허. 왜 머리 깎고 수염 기르면 사람들이 놀랄 것 같지? 웬걸. 몰라요. 남은 내 생각만큼 나를 생각하지 않아. 그런데도 ‘남이 어떻게 볼까?' 그 기준으로 자기 가치를 연기하고 사니 허망한 거지. 허허.""인간은 내 의지로 세상에 나오지 않았어요. 하지만 그래서 안 태어나는 게 행복했다, 어쩔 수 없이 태어났으니 빨리 사라지는 게 낫겠다, 이렇게 반출생주의적인 사고를 하는 건 무의미해. 제일 쉬운 게 부정이에요. 긍정이 어렵죠.
나야말로 젊을 때 저항의 문학이다, 우상의 파괴다, 해서 부수고 무너뜨리는 데 힘을 썼어요. 그런데 지금 죽음 앞에서 생명을 생각하고 텅 빈 우주를 관찰하면, 다 부정해도 현재 내가 살아 있다는 건 부정할 수가 없어요. 숨을 쉬고 구름을 본다는 건 놀라운 일이에요."
"햇빛만 받아 울창한 나무든 그늘 속에서 야윈 나무든 다 제 몫의 임무가 있는 유일한 생명이에요. 그 유니크함이 놀라운 평등이지요. 또 하나. 살아있는 것은 공평하게 다 죽잖아."
"단지 물을 얻기 위해 우물을 파지는 않았어요. 미지에 대한 목마름, 도전이었어요. 여기를 파면 물이 나올까? 안 나올까? 호기심이 강했지. 우물을 파고 마시는 순간 다른 우물을 찾아 떠났어요. ‘두레박'의 갈증이지요. 한 자리에서 소금 기둥이 되지 않으려고 했어요. 이제 그 마지막 우물인 죽음에 도달한 것이고."
(뒤늦게 깨달은 생의 진실)
"모든 게 선물이었다는 거죠. 마이 라이프는 기프트였어요. 내 집도 내 자녀도 내 책도, 내 지성도... 분명히 내 것인 줄 알았는데 다 기프트였어.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처음 받았던 가방, 알코올 냄새가 나던 말랑말랑한 지우개처럼. 내가 울면 다가와서 등을 두드려주던 어른들처럼. 내가 벌어서 내 돈으로 산 것이 아니었어요. 우주에서 선물로 받은 이 생명처럼, 내가 내 힘으로 이뤘다고 생각한 게 다 선물이더라고."
"초 열 개 주세요." "좋은 거로 주세요." 그 순간이 얼마나 고귀해. 내가 말하는 생명 자본도 어려운 게 아니에요. 자기가 먹을 빵을 생일 케이크로 바꿔주는 거죠. 생일 케이크가 그렇잖아. 내가 사주면 또 남이 사주거든. 그게 기프트지. 그러려면 공감이 중요해요. 공의가 아니라, 공감이 먼저예요."
(젊은이들에게)
"딱 한 가지야. 덮어놓고 살지 마세요. 그리스 사람들은 진실의 반대가 허위가 아니라 망각이라고 했어요. 요즘 거짓말하는 사람들은 과거를 잊어서 그래요. 자기가 한 일을 망각의 포장으로 덮으니 어리석어요. 부디 덮어놓고 살지 마세요."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이어령 마지막 인터뷰 "죽음을 기다리며 나는 탄생의 신비를 배웠네"
"죽는 것은 돌아가는 것… 내가 받은 모든 게 선물이었다""죽음 알기 위해 거꾸로… 유언같은 ‘탄생' 써내려가""촛불 꺼지기 전 한번 환하게 타올라, 그것은 신의 은총""나중 된 자 먼저 돼, 죽음
www.chosun.com
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1/01/02/T23JEXKXPZASDAHJ5JM63OMKRU/
“우리는 피 흘린 혁명도 경험해봤고, 땀 흘려 경제도 부흥해봤어요. 딱 하나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것이 눈물, 즉 박애(fraternity)예요.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모르는 타인을 위해서 흘리는 눈물, 인간의 따스한 체온이 담긴 눈물. 인류는 이미 피의 논리, 땀의 논리를 가지고는 생존해갈 수 없는 시대를 맞이했어요. 대한민국만 해도 적폐 청산으로, 전염병으로, 남북 문제로 나라가 엉망이 됐지만 독재를 이기는 건 주먹이 아니라 보자기였듯이 우리에겐 어느 때보다 뜨거운 눈물 한 방울이 절실합니다.”
“나는 눈물 없는 자유와 평등이 인류의 문명을 초토화시켰다고 봐요.
자유도 중요하고, 평등도 중요하다.
혁명도 때로 필요하고, 부흥을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하지만, 여기에 '사랑'이 빠지면, 타인을 위한 관심과 공감이 빠지면, 우리가 바라는 그 이상향에 다다를 수 없다.
아니 어쩌면, 그 이상향과는 정 반대의 자리에 서 있을지도 모르겠다.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이 풍요하지만, 이전 보다 덜 행복한 것처럼.
암 투병 중인 이어령 “죽음이 목전에 와도 글 쓰겠다”
암 투병 중인 노(老)학자가 마루에 쪼그려 앉아 발톱을 깎다가 눈물 한 방울을 툭, 떨어뜨렸다. 멍들고 이지러져 사라지다시피 한 새끼발톱, 그 가여운 발가락을 보고 있자니 회한이 밀려왔다.
www.chosun.com
'세상 알아가기 > 세상, 사람,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진석 교수 인터뷰 (0) | 2021.03.09 |
---|---|
낯선 것, 익숙한 것. (0) | 2021.03.02 |
능력주의에 대해 (0) | 2020.11.23 |
[스크랩] 선동열 야구학 10 (0) | 2020.11.12 |
[스크랩] 공정은 어떻게 그들의 무기가 되었나 (0)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