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Walk the great dream
하나님 알아가기/말씀묵상 - Knowing God, Resembling Jesus

[Daily Bread] 에스더 9:1-19_내가 나를 안 챙기는 것이 plus..

by 푸른신발 2025. 5. 21.
  • 1 열두째 달인 아달월 십삼일, 드디어 왕이 내린 명령과 조서대로 시행하는 날이 되었다. 이 날은, 본래 유다 사람의 원수들이 유다 사람을 없애려고 한 날인데, 오히려 유다 사람이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없애는 날로 바뀌었다.
  • 2 아하수에로 왕이 다스리는 모든 지방의 각 성읍에 사는 유다 사람들은, 성읍별로 모여서, 자기들을 해치려고 한 자들을 공격하였다. 모든 민족이 그들을 두려워하였으므로, 아무도 막을 수 없었다.
  • 3 각 지방의 대신들과 제후들과 총독들과 왕의 행정관리들은, 모르드개가 무서워서도 유다 사람들을 도왔다.
  • 4 당시 모르드개는, 왕궁에서 실권을 잡고 있었고, 그의 세력은 날로 더하여 갔으며, 그의 명성은 전국 방방곡곡에 퍼졌다.
  • 5 ○유다 사람들은 그들의 원수를 다 칼로 쳐 죽여 없앴으며,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에게, 하고 싶은 대로 다 하였다.
  • 6 유다 사람들은 도성 수산에서만도 그런 자들을 오백 명이나 처형하였다.
  • 7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
  • 8 보라다와 아달리야와 아리다다와
  • 9 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와
  • 10 유다 사람의 원수요 함므다다의 아들인 하만의 열 아들도 죽였다. 유다 사람들은 그들을 죽이기는 하였지만, 그들의 재산은 빼앗지 않았다.
  • 11 ○도성 수산에서 죽은 사람의 수는 그 날로 왕에게 보고되었다.
  • 12 왕이 에스더 왕후에게 말하였다. "유다 사람들은 도성 수산에서만도 그들의 원수를 오백 명이나 죽였고, 하만의 열 아들도 다 죽였소. 그러니 나머지 다른지방에서야 오죽하였겠소? 이제 당신의 남은 소청이 무엇이오? 내가 그대로 들어주리다. 당신의 요구가 또 무엇이오? 당신이 바라는 대로 하여 주겠소."
  • 13 에스더가 대답하였다. "임금님께서만 좋으시다면, 수산에 있는 유다 사람들이 내일도 오늘처럼 이 조서대로 시행하도록 하여 주십시오. 그리고 하만의 열 아들의 주검은 장대에 매달아 주십시오."
  • 14 왕은 그렇게 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수산에는 조서가 내렸고, 하만의 열 아들의 주검은 장대에 매달렸다.
  • 15 수산의 유다 사람들은 아달월 십사일에 한 곳에 모여서, 수산에서만도 삼백 명을 죽였으나, 역시 재산은 빼앗지 않았다.
  • 16 ○그러는 동안에, 왕이 다스리는 각 지방에 있는 나머지 유다 사람들도, 지방별로 함께 모여서 조직을 정비하고, 자체 방어에 들어갔다. 그들은 원수들을 무려 칠만 오천 명이나 죽였으나, 역시 재산은 빼앗지 않았다.
  • 17 이 일이 일어난 것은 아달월 십삼일이었다. 십사일에는 쉬면서, 그 날을, 잔치를 하면서 기뻐하는 날로 삼았다.
  • 18 그러나 수산에 사는 유다 사람들은, 십삼일과 십사일에 모여 일을 벌였으므로, 십오일에는 쉬면서, 그 날을 잔치를 하면서 기뻐하는 날로 삼았다.
  • 19 성벽이 없는 여러 마을에 사는 유다 사람들이 아달월 십사일을 명절로 정하고, 즐겁게 잔치를 벌이면서, 서로 음식을 나누어 먹은 까닭도 바로 이것이다.

1. 문맥

새로운 왕의 조서로 유다 사람들이 그들의 원수를 갚는 날이 된 아달월 14일

 

2.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상황을 얼마든지 뒤집으시는 하나님

 

3. 내게 다가오는 하나님의 성품

Good/Bad: 성경에 드러난 현실

유다 사람들을 미워하는 사람들이 유다 사람들에게 실질적 위협을 가하고 있었던 상황

권력자 하만으로 인해, 그 위협이 실제가 되고 몰살되기 직전까지 갔던 상황

Good News: 현실을 풀어내시는 하나님의 도우심

1 ... 이 날은, 본래 유다 사람의 원수들이 유다 사람을 없애려고 한 날인데, 오히려 유다 사람이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없애는 날로 바뀌었다.

12 ... 이제 당신의 남은 소청이 무엇이오? 내가 그대로 들어주리다. 당신의 요구가 또 무엇이오? 당신이 바라는 대로 하여 주겠소."

그 상황이 반전이 되어, 유다 사람들이 그들의 대적을 처리할 수 있는 날이 주어짐. 

더 필요한 것이 없는지 묻는 아하수에로 왕

Good

19 성벽이 없는 여러 마을에 사는 유다 사람들이 아달월 십사일을 명절로 정하고, 즐겁게 잔치를 벌이면서, 서로 음식을 나누어 먹은 까닭도 바로 이것이다.

슬픔의 날이 될 뻔했으나, 기쁨의 날이 됨

 

모르드개의 어떤 행동들이 하만의 기분을 나쁘게 했겠지만, 유다사람들을 몰살시킬 생각을 했던 것을 보면

당시 사회 속에서 유다 사람들을 향해 시기나 미움의 감정들이 보편적이었을 수도 있던 것 같다. 

그들의 독특한 정체성과 유대감이나, 그들의 성공, 그리고 유대인들의 선민의식이 낳은 태도와 같은 것이이 다른 민족들에게 좋지 않게 보였을 수도 있다. 불편함을 넘어서 적대적 감정을 가진 사람들도 꽤 있었을 것이고, 하만의 조서로 인해 그 감정을 극단적으로 표현했던 사람들이 생겼을 것이다. 상황이 역전될 줄 모르고 말이다. 

 

이제 상황이 바뀌어서, 부림을 통해 받은 몰살될 뻔한 날짜가 원수를 갚는 날로 바뀌었다. 

(사람을 죽이는 것이 옳은 짓인가 하는 생각이 여전히 없는 것은 아닌데.. 시대적 배경이 다르니..

그래도 선을 지켜서 그들의 재산에 손을 대지 않음으로서, 자기 방어권을 행사했을 뿐이라 주장할 최소한의 조건은 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렇게 13일 하루가 지났는데, 아하수에로 왕이 또 에스더에게 (먼저) 물어본다. 

남은 소원이 없는지.. 

에스더는 자신이 갖고 싶은 것을 말하지 않고, 자기 민족의 어려움을 풀어달라고 했었기 때문이다. 

이번에 역시.. 자신의 민족을 위한 간청을 한다. 

 

에스더를 챙기는 아하수에로 왕의 모습이 하나님의 마음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많은 것을 주고 싶어하는 대상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챙기면, 

나서서 더 챙겨주고 싶어하는 마음이 생기게 마련이다. 

그런데, 우리는.. 나 말고 누가 나를 챙기나.. 하면서, 내 것만 챙기기 바쁘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나를 사랑하신다고 한다. 나를 향한 선한 계획이 있으시다고 하신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좋은 것, 복을 주시는 분이이라고 하신다. 

그렇다면, 내가 나를 좀 덜 챙겨도 된다. 

내가 나를 덜 챙기고 남을 챙기면, 하나님은 내가 챙기는 그 사람도 챙겨주시고 나 또한 더 챙겨 주시는 것이.. 영적 원리 아닐까. 

그러면, 나도 남도 복을 받고, 복에 더해서 하나님도 기분좋고, 나도 좋고, 도움 받은 사람도 기분 좋고.. 그게 하나님 나라를 살아가는 방식 아닐까... 

 

4. 기도

전능하신 하나님!! 하나님은 망한 상황도 뒤집으시고, 슬픔의 날을 기쁨의 날로 바꾸시는 분이십니다. 찬양합니다! 그런 하나님께서 나를 돌보시니 찬양과 감사를 드립니다.

저는 하나님의 전능하심도, 하나님의 선하심도, 나를 향하신 계획도 잘 믿지 못합니다. 그래서 늘 나만 바라보고, 나만 생각하며 스스로 나를 챙기기에 바쁩니다. 저의 불신앙을 용서해 주세요. 

그럼에도 모든 복을 주시고 제 삶을 축복하여 주신 주님 감사합니다. 지금 내가 누리는 모든 것들이 생각해 보면 자격 이상으로 받은 과분한 것들입니다. 베풀어주신 은혜에 감사합니다. 

주님이 내게 복주시는 것임을 믿을 수 있게 성령님 도와 주세요. 저를 불신앙으로부터 건져 주소서. 내 시선을 나로부터 돌려 주변을 볼 수 있게 도와 주세요. 주변을 향해 복을 빌고 도우며 살아갈 때, 그들과 함께 나를 챙기시는 하나님의 손을 경험하며 살게 하시고, 그래서 하나님께 기쁨이 되고 이 땅에 기쁨이 넘치게 하는 하나님나라의 삶을 살아가는 축복의 사람이 되도록 인도해 주세요.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