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이스라엘의 엘라 왕의 아들 호세아 제 삼년에, 아하스의 아들 히스기야가 유다 왕이 되었다.
-
2 그가 왕이 되었을 때에, 그는 스물다섯 살이었다. 그는 예루살렘에서 스물아홉 해 동안 다스렸다. 그의 어머니 아비는 스가랴의 딸이다.
-
3 그는 조상 다윗이 한 모든 것을 그대로 본받아, 주님께서 보시기에 올바른 일을 하였다.
-
4 그는 산당을 헐어 버렸고, 돌기둥들을 부수었으며, 아세라 목상을 찍어 버렸다. 그는 또한 모세가 만든 구리 뱀도 산산조각으로 깨뜨려 버렸다. 이스라엘 자손이 그 때까지도 느후스단이라고 부르는 그 구리 뱀에게 분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
5 그는 주님이신 이스라엘의 하나님만을 신뢰하였는데, 유다 왕 가운데는 전에도 후에도 그만한 왕이 없었다.
-
6 그는 주님에게만 매달려, 주님을 배반하는 일이 없이, 주님께서 모세에게 명하신 계명들을 준수하였다.
-
7 어디를 가든지, 주님께서 그와 같이 계시므로, 그는 늘 성공하였다. 그는 앗시리아 왕에게 반기를 들고, 그를 섬기지 않았다.
-
8 그는 가사와 그 전 경계선까지, 또 망대로부터 요새화된 성읍에 이르기까지, 블레셋을 모두 쳐부수었다.
-
9 ○히스기야 왕 제 사년 곧 이스라엘의 엘라의 아들 호세아 왕 제 칠년에, 앗시리아의 살만에셀 왕이 사마리아를 포위하여,
-
10 세 해 만에 그 도성을 함락시켰다. 곧 히스기야 제 육년과, 이스라엘의 호세아 왕 제 구년에 그들이 사마리아를 함락시킨 것이다.
-
11 앗시리아 왕은 이스라엘 사람들을 앗시리아로 사로잡아 가서, 그들을 할라와 고산 강 가의 하볼과 메대의 여러 성읍에 이주시켰다.
-
12 ○이렇게 된 것은, 그들이 자기들의 하나님이신 주님의 말씀을 듣지 않고, 그의 언약을 깨뜨렸으며, 주님의 종 모세가 명령한 모든 것을, 순종하지도 않고실천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
13 ○히스기야 왕 제 십사년에 앗시리아의 산헤립 왕이 올라와서, 요새화된 유다의 모든 성읍을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
14 그래서 유다의 히스기야 왕은 라기스에 와 있는 앗시리아 왕에게 전령을 보내어 말하였다. "우리가 잘못하였습니다. 철수만 해주시면, 요구하시는 것은 무엇이나 드리겠습니다." 그러자 앗시리아 왕은 유다의 히스기야 왕에게 은 삼백 달란트와 금 삼십 달란트를 요구하였다.
-
15 그리하여 히스기야는 주님의 성전과 왕궁의 보물 창고에 있는 은을 있는 대로 다 내주었다.
-
16 그 때에 유다의 히스기야 왕은, 주님의 성전 문과 기둥에 자신이 직접 입힌 금을 모두 벗겨서, 앗시리아 왕에게 주었다.
Good/Bad: 성경에 드러난 현실
13 ○히스기야 왕 제 십사년에 앗시리아의 산헤립 왕이 올라와서, 요새화된 유다의 모든 성읍을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앗시리아에 굴복하지 않고 저항하였으나 항복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됨
Good News: 현실을 풀어내시는 하나님의 도우심
7 어디를 가든지, 주님께서 그와 같이 계시므로, 그는 늘 성공하였다.
언제나 함께 하시고 형통케 하시는 하나님.
히스기야의 선왕인 아하스는 이스라엘 연합군의 위협 속에서
성전과 창고의 금은을 내어주며 앗시리아를 끌어들였다. 거기서 그친 것이 아니라 성전 안에 앗시리아의 신을 위한 제단을 쌓고 거기서 제사를 지내고 철저히 앗시리아의 신하가 되었다. (왕하16장)
하지만, 뒤를 이어 왕이 된 히스기야는 그 아버지와는 정 반대의 길을 걸었다.
우상이란 우상을 모두 부셨고, 모든 왕들이 하지 못했던 산당을 헐었다.
'하나님만 신뢰하고, 주님에게만 매달리고 배반하지 않고 모든 계명을 준수'하며 앗시리아에도 저항하였다.
자신의 아버지와는 정반대로 다윗의 길을 걸으며 살았다. (자녀들이 부모와 다르게 살 희망이 있다.)
그러나, 현실은 녹녹치 않았다. 앗시리아는 여러 주변국들과 마찬가치로 남유다를 공격하였고 여러 성읍이 함락되었다.
결국, 앗시리아를 물리치기 위해 이제 그나마 남아 있었던 은들과 성전 건물에 자신이 새롭게 입힌 금까지 모두 바쳐야 했다.
(그럼에도 결국 다시 쳐들어오지만..)
하나님을 그토록 잘 따른 히스기야 왕이 왜 이런 고난을 겪어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역사의 큰 흐름을 거부하고 앗시리아에 저항한 것이 그의 교만이었고 잘못이었을까.. 아니면 "하나님의 명령을 잘 지키지 아니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이 만든 규례를 그대로 따른"(왕하17:19) 결과 유다백성이 하나님의 면전에서 쫓겨나는 큰 흐름에 어쩔 수 없었던 것일까...
역사의 큰 흐름 속에서 고난의 시간을 걷지만, 그 때에도 "어디를 가든지 주님께서 그와 같이 계시므로 그는 늘 성공(형통)하였다"라는 평가처럼 히스기야 왕의 삶은 하나님과 함께 하지 않았을까.
어떤 경우에도, 히스기야처럼 하나님만 섬기고, 하나님께만 매달리고, 그 모든 말씀을 지켜 행하는 사람이 되기를.. 그래서 늘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사람이 되기를...
기도
온 세상의 주가 되시는 하나님, 오늘도 주의 다스리심으로 세상을 운행하시는 주님을 찬양합니다.
아직도 헐지 못하는 마음의 산당들을 용서하시고, 형통함 속에 자라는 교만을 용서하소서.
늘 실패하고 실수함에도 용납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합니다.
히스기야 왕처럼 모든 산당과 우상을 없애고, 하나님만 의지하고, 하나님께만 매달리고 그 말씀을 지키는 주님의 사람이 되게 하소서.
'하나님 알아가기 > 말씀묵상 - Knowing God, Resembling Jes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ily Bread] 열왕기하 19:20-37_하나님의 이름을 인하여..하나님의 열심으로 이루시는 구원 (0) | 2024.10.07 |
---|---|
[Daily Bread] 열왕기하 18: 17-37 (0) | 2024.10.05 |
[Daily Bread] 열왕기하 17:24-41 (1) | 2024.10.03 |
[Daily Bread] 열왕기하 17:1-23 (0) | 2024.10.02 |
[Daily Bread] 열왕기하 16:1-20_남겨둔 산당의 결과.. (0)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