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 ○그리하여 님시의 손자이며 여호사밧의 아들인 예후는, 요람을 칠 모의를 하게 되었다. 그 때에 요람은 이스라엘 전군을 이끌고, 시리아 왕 하사엘과 맞서서 길르앗의 라못을 지키고 있었다.
-
15 요람 왕이 시리아 왕 하사엘과 싸울 때, 시리아 사람에게 다친 상처를 치료하려고 이스르엘로 돌아와 있을 때였다. 마침내 예후가 말하였다. "장군들이 나와뜻을 같이 한다면, 아무도 이 성읍을 빠져 나가서, 이스르엘에 이 사실을 알리는 일이 없도록 해주시오."
-
16 그런 다음에 예후는, 병거를 타고 이스르엘로 갔다. 요람이 그 곳에서 병으로 누워 있었다. 유다의 아하시야 왕은 요람을 문병하려고 벌써 거기에 와 있었다.
-
17 ○이스르엘의 망대 위에 서 있는 파수병이, 예후의 군대가 오는 것을 보고 "웬 군대가 오고 있습니다" 하고 외쳤다. 그러자 요람이 말하였다. "기마병을 보내어 그들을 만나, 평화의 소식이냐고 물어 보아라."
-
18 ○그리하여 기마병은 그들을 만나러 가서 말하였다. "임금님께서 평화의 소식이냐고 물어 보라 하셨소." 그러자 예후가 말하였다. "평화의 소식인지 아닌지가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는 내 뒤를 따르라." 파수병이 왕에게 보고하였다. "그들에게 간 전령이 돌아오지 않습니다."
-
19 그리하여 왕이 두 번째 기마병을 보내자, 그가 그들에게 가서 말하였다. "임금님께서 평화의 소식이냐고 물어 보라 하셨소." 그러자 예후가 말하였다. "평화의 소식인지 아닌지가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는 내 뒤를 따르라."
-
20 ○파수병이 왕에게 또 보고하였다. "그들에게 간 전령이 또 돌아오지 않습니다. 그런데 미친 듯이 말을 모는 모습이, 님시의 아들 예후와 비슷합니다."
-
21 ○이 말을 듣자, 요람은 "병거를 준비하라!" 하고 명령하였다. 병거를 준비하니, 이스라엘 왕 요람과 유다 왕 아하시야가 각각 자기의 병거를 타고 예후를만나러 나가서, 이스르엘 사람 나봇의 땅에서 그를 만났다.
-
22 요람이 예후를 보고 "예후 장군, 평화의 소식이오?" 하고 물었다. 예후는 "당신의 어머니 이세벨이 저지른 음행과 마술 행위가 극에 달하였는데, 무슨 평화가 있겠소?" 하고 대답하였다.
-
23 ○요람이 그의 손에 쥔 말고삐를 급히 돌려 도망하면서, 아하시야에게 소리쳤다. "아하시야 임금님, 반역이오."
-
24 예후가 힘껏 활을 당겨 요람의 등을 겨누어 쏘자, 화살이 그의 가슴을 꿰뚫고 나갔다. 그는 병거 바닥에 엎드러졌다.
-
25 예후가 요람의 빗갈 시종무관에게 말하였다. "그 주검을 들고 가서, 이스르엘 사람 나봇의 밭에 던지시오. 당신은, 나와 당신이 그의 아버지 아합의 뒤에서나란히 병거를 타고 다닐 때에, 주님께서 그를 두고 선포하신 말씀을 그대로 기억할 것이오.
-
26 주님께서 아합에게 '내가 어제, 나봇과 그의 아들들이 함께 흘린 피를 분명히 보았다. 바로 이 밭에서 내가 너에게 그대로 갚겠다. 이것은 나 주의 말이다'하고 말씀하셨소. 이제 당신은 그 주검을 들고 가서, 주님의 말씀대로 그 밭에 던지시오."
Good/Bad: 성경에 드러난 현실
22 요람이 예후를 보고 "예후 장군, 평화의 소식이오?" 하고 물었다. 예후는 "당신의 어머니 이세벨이 저지른 음행과 마술 행위가 극에 달하였는데, 무슨 평화가 있겠소?" 하고 대답하였다.
회개할 줄 모르고 선대부터 내려오는 악을 그대로 이어가며 악이 가득찬 이스라엘
Good News: 현실을 풀어내시는 하나님의 도우심
26 주님께서 아합에게 '내가 어제, 나봇과 그의 아들들이 함께 흘린 피를 분명히 보았다. 바로 이 밭에서 내가 너에게 그대로 갚겠다. 이것은 나 주의 말이다'하고 말씀하셨소. 이제 당신은 그 주검을 들고 가서, 주님의 말씀대로 그 밭에 던지시오."
그 악을 심판하실 것이라 하신 말씀을 그대로 이루시는 하나님
이미 오랜 동안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하나의 문화로 습관으로 자리잡히게 되면 거기에서 돌이키기가 쉽지 않다.
그것이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조차 쉽지 않을 수 있다. 현실 속에서 큰 문제에 부딪히기 전에는 사람이 쉽게 바뀌지 않는 것도 그런 이유가 있지 않을까.
하지만, 그 이전에도 하나의 사인이 있는 것 같다. 요람왕은 계속 전령을 보내어 평화의 소식인지를 묻는다. 그만큼 불안하다는 증거일 수 있는데, 우리 마음의 불안함은 상황이 바뀐다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언제나 새로운 불안의 원인을 찾기 때문이다.
불안은 우리 존재의 근원이신 하나님과의 관계가 어긋나 있는 데에서부터 시작한다. 그 관계가 회복되어지기 전까지, 우리의 마음은 불안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다시금 하나님 앞으로 돌아간다. 그 앞에서 나를 돌아보며, 나의 자리, 순종의 자리로 돌아간다.
기도
주님,
내 존재의 근원되시는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하나님의 자리에 서는 제 죄된 습관을 용서해 주시옵소서.
흔들리지 않는 하나님이 계시기에 나 또한 평안할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다시금 돌아갈 주님이 언제나 그 자리에 계시기에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 다시금 나의 자리로 돌아가, 주 안에서 평안을 누리게 하옵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하나님 알아가기 > 말씀묵상 - Knowing God, Resembling Jes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ily Bread] 열왕기하 11:1-21_낙심될 때..기도하기 (0) | 2024.09.23 |
---|---|
[Daily Bread] 열왕기하 9:27-37 (0) | 2024.09.20 |
[Daily Bread] 열왕기하 9:1-13 (0) | 2024.09.18 |
[Daily Bread] 열왕기하 8:16-29 (1) | 2024.09.17 |
[Daily Bread] 열왕기하 8:1-15_고난의 바다 vs. 은혜의 바다 (1) | 2024.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