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알아가기/書 : 삶은 내가 쓰는 문장을 닮아간다

설득의 논리학(3) _ 배열법. 아리스토텔레스가 논설문을 쓴다면.

푸른신발 2020. 4. 28. 14:26

아리스토텔레스 시대의 '논증'은 수사학에도 속했고 논리학에도 속했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논리학 저서 <오르가논> 뿐만 아니라, <수사학>에서도 논증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논증은, 논리적 타당성을 밝히기 위한 형식 논증과 설득을 위한 수사학적 논증으로 나눌 수 있다. 오늘 날은 설득 보다는 논리적 타당성을 다투는 논증이 더욱 중요시 생각되긴 하지만 말이다. 수사학적 논증 또한 감성적 수사학과 이성의 수사학으로 다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연언어 속에 숨겨진 논증의 언어는 찾아내기가 쉽지는 않다. 숨겨진 논증을 밝히기 위해서는 이 논리적 구조를 드러내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는데, 바바라 민토는 그의 피라미드 원칙에서 이를 연역적 추론 방식과 귀납적 추론 방식으로 정리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 5가지의 기술을 소개하는데, 주제 설정논법(I), 배열법(D), 미사여구법(E), 연기법(A), 기억술(M)이 그것이다. 이 중 앞의 3가지가 중요하고, 논설문을 써내려가는 좋은 구조는 배열법을 통해 배울 수 있다. 

 

머리말 - 진술부 - 논증부 - 맺음말 4단계. 머리말과 맺음말은 감동시키기로, 진술부와 논증부는 설득시키기에 집중한다. 

 

머리말 : 유혹하기가 핵심

  • 속담, 예화 등 : Topica 가 중요
  • 관심화제
  • 개념 정의
  • 질문 : 사람들은 대화체에 친근함을 느낀다. 

진술부 : 논증의 준비

  • 논제 또는 그와 관련된 사실
  • 사실 자체에 집중하고, 논증부와의 연계성이 높으면 높을 수록 좋다. 

논증부 : 논제에 대한 견해 제시. 그에 대한 논거 제시를 통해 증명.

  • 논증의 설득력을 높이는 것은 두 가지다. 
    1. 형식 : 예증, 삼단논법, 대증식 등
    2. 내용 : 설득력 높은 논거들
      • 역사적 사실, 객관적 사실
      • 정설로 인정된 학설
      • 통계 자료

반론부 : 민주적이고 열려있다는 느낌을 주어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 너무 진지하고 길면 안된다. 

 

맺음말 : 재론과 요약. (단순 반복이 아님)

  • 속담이나 명언
  • 방양제시, 전망 등
  • 새로운 문제를 꺼내지 말 것. 감동시키기에 집중할 것.